영분공 16世 수은공 휘 충한 단소(樹隱公諱冲漢壇所)
소재지: 전북 남원시 송동면 두신리 산23번지
김충한(金沖漢)
자(字) 통경(通卿)이며, 호(號) 수은(樹隱)이다.
생몰년은 미상이다.
고려 말기의 문신이다. 사대부로서 학문에 밝았으며,
관작(官爵) : 봉익대부예의판서(奉翊大夫禮儀判書)를 역임했다.
배(配) 서흥부부인 김씨 부(父)는 성균관사성봉환
정숙공의 현손이고 시호는 문민공(文敏公)이시다.
어려서부터 남다른 재질이 있었으니 체격이 장대하고 성격이 위엄하고 기상이 의연하였다. 학문에 뜻을 두고 책을 읽을 때 한번 읽으면 바로 그 뜻을 체득하였고 저술에도 능하셨다.
고려가 끝내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만수산의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여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켰다. 이로써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 도은 이숭인, 야은 길재, 농은 민안부와 더불어 육은(六隱)으로 일컬어졌다.
임선미(林先味)등 70여인과 송경 만수산에 입산하시니 후인이 두문동 72현이라 하였다.
이태조(李太祖)가 누차 부르시나 굴하지 않고 지리산 서쪽으로 피적(被謫)하셔서 나무로 집을 삼고사시니 남원구 송동면 두곡의 이름이 이에 근원함이요 태종원년에 이조판서와 문민공 칭호를 내렸으나 유훈을 받들어 자손들이 받지 않았다.
두남사(杜南祠), 두곡서원(杜谷書院), 표절사(表節祠), 칠현사(七賢祠), 금남사(錦南祠), 학산사(鶴山祠) 등에 제향되었다.
【참고 문헌】
고려명신전(高麗名臣傳),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수은실기(樹隱實記), 이현실기(二賢實記), 고려충의열전(高麗忠義列傳).
【가족】
○고조(高祖)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김인경(金仁鏡)
○증조(曾祖)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김연성(金鍊成)
○조부(祖父)
전객시령(典客寺令) 김영(金瑩)
○선고(先考)
판도사정랑(判圖司正郞) 김서인(金瑞仁)
○자서(子壻)
이조정랑(吏曹正郞) 김자(金磁)
담양부사(潭陽府使) 김승(金繩)
홍문관직제학(弘文館直提學) 김작(金綽)
공조참의 증찬성(工曹參議 贈贊成) 신포시(申包翅)
경주김씨남천공파낙포문중
전남 여수시 해산동 267-1 | TEL tel:061-684-2500 COPYRIGHT ⓒ 경주김씨남천공파낙포문중 All rights reserved. |